생두 정보
나라: 온두라스
지역: 엘 파라이소, 트로헤스, 세로 비하오
농장: 엘 미라그로
품종: 파라이네마
재배 고도: 1,350 m
가공방식: 워시드
크롭: 2024
생두사: 커피 리브레
생두사 컵노트: 플로럴, 청포도, 살구, 꿀, 라임주스, 라운드바디
생두 가격: 소매 18,000 원
로스팅 정보
로스팅 머신: 이지스터 4
투입량: 1,007 g
배출량: 885 g
질량 감소율: 12.1%
커핑 결과
로스팅 프로파일
로스팅 진행 설계는 산지(중남미-온두라스)와 가공방식 (워시드), 배출온도 (미디엄 라이트)의 3가지 요소를 고려하여 가스압을 (강) 값으로 형성하는 진행으로 설계하였습니다.
파라이네마 품종은 온두라스에서 자생하는 사치모르 계열의 품종입니다. 온두라스의 떼루아와 파라이네마 품종의 특징은 궁합이 잘 맞아 상당한 매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파라이네마 품종은 워시드 가공에서 화이트 플로럴, 밝은 시트러스, 허브, 사탕수수와 맥아당의 단맛이 두드러집니다.
풀리 워시드 생두는 아래의 특성으로 인해 가스압을 (강)으로 설정하여 로스팅을 진행합니다.
-풀리 워시드 가공의 특징-
풀리 워시드의 특징은 워시드 중에서도 1차 크랙 이후 급격한 BT ROR 하강을 만들어냅니다. 또한 1차 크랙 시작 온도가 다른 워시드에 비하여 낮게 시작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특징은 '가스압 크기' 설정에 있어서 중요한 지표가 될 수 있습니다.
크랙 이후 급격한 BT ROR 하강으로 크랙 후 배출까지 온도상승 대비 의미 없이 시간이 지체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현상으로 진행이 많이 더뎌진 경우 '캐릭터의 인텐스가 하강'하며 더뎌진 상태로 긴 시간 로스팅 시 '거친,드라이' 한 특징이 더해질 수 있습니다. 간혹 케냐를 비롯한 풀리 워시드 생두에서 캐릭터는 약한데 맛에서 텁텁한 갈색설탕만 많이 연상되는 경우입니다.
이러한 경우에는 후반부 BT ROR 값을 높이기 위해 가스압을 높게 형성합니다. 후반부 ROR개형은 급격하게 감소하더라도 그 값이 높다면 온도 상승 대비 더디지 않은 진행을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가공은 가스압을 가장 높게 형성해야 밝은 산미톤, 섬세한 향, 깔끔함 등 긍정적으로 향미 특징이 드러납니다.
케냐는 이러한 풀리 워시드가 거의 모두 해당하며, 그 외 이러한 가공을 많이 하는 워시드 산지는 아프리카에서는 탄자니아, 르완다, (에티오피아 워시드는 섞여있습니다.) 중남미에서는 니카라과, 페루, 온두라스 등이 있습니다.
다음은 이전 포스트인 니카라과 핀카 리브레 파라이네마 워시드와 비교 로그입니다. 가스압을 크기 차이를 (중강)과 (강)으로 준 것. 이로 인해 투입온도를 차이를 둔 로그의 비교입니다.
이러한 차이를 준 것은 크랙 온도와 이후 BT RoR 감소 양상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