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두 정보
나라: 케냐
지역: 니에리
농장: 캉고초
품종: SL-28, SL-34
재배 고도: 1,600 m ~ 1,800 m
가공방식: 풀리 워시드
크롭: 2024
생두사: 세웅지씨 - 노르딕 어프로치
생두사 컵노트: 말린 베리, 블랙 베리, 베리 잼, 밀크 초콜릿, 슈거
생두 가격: 소매 43,500 원
로스팅 정보
로스팅 머신: 이지스터 4
투입량: 1,008 g
배출량: 880 g
질량 감소율: 12.7 %
커핑 결과
로스팅 프로파일
로스팅 진행 설계는 산지(아프리카-케냐)와 가공방식 (풀리 워시드), 배출온도 (미디엄 라이트)의 3가지 요소를 고려하여 가스압을 (강) 값으로 형성하는 진행으로 설계하였습니다.
풀리 워시드 생두는 아래의 특성으로 인해 가스압을 (강)으로 설정하여 로스팅을 진행합니다.
-풀리 워시드 가공의 특징-
풀리 워시드의 특징은 워시드 중에서도 1차 크랙 이후 급격한 BT ROR 하강을 만들어냅니다. 또한 1차 크랙 시작 온도가 다른 워시드에 비하여 낮게 시작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특징은 '가스압 크기' 설정에 있어서 중요한 지표가 될 수 있습니다.
크랙 이후 급격한 BT ROR 하강으로 크랙 후 배출까지 온도상승 대비 의미 없이 시간이 지체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현상으로 진행이 많이 더뎌진 경우 '캐릭터의 인텐스가 하강'하며 더뎌진 상태로 긴 시간 로스팅 시 '거친,드라이' 한 특징이 더해질 수 있습니다. 간혹 케냐를 비롯한 풀리 워시드 생두에서 캐릭터는 약한데 맛에서 텁텁한 갈색설탕만 많이 연상되는 경우입니다.
이러한 경우에는 후반부 BT ROR 값을 높이기 위해 가스압을 높게 형성합니다. 후반부 ROR개형은 급격하게 감소하더라도 그 값이 높다면 온도 상승 대비 더디지 않은 진행을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가공은 가스압을 가장 높게 형성해야 밝은 산미톤, 섬세한 향, 깔끔함 등 긍정적으로 향미 특징이 드러납니다.
케냐는 이러한 풀리 워시드가 거의 모두 해당하며, 그 외 이러한 가공을 많이 하는 워시드 산지는 아프리카에서는 탄자니아, 르완다, (에티오피아 워시드는 섞여있습니다.) 중남미에서는 니카라과, 페루, 온두라스 등이 있습니다.
이전 포스트인 엘 엔칸토 커피와 마찬가지로 이 커피는 노르웨이 생두사인 '노르딕 어프로치'에서 유통하는 생두입니다. 한국에 수입되어 추가 비용이 발생되어 가격대는 높게 측정된 것으로 보입니다.
동급의 생두 대비 가격이 2배 가까이 형성된 것 같습니다. 한번 경험을 해보고자 리뷰를 해봅니다.
추가적인 배치를 한다면 같은 배출온도에서 가스압을 낮춰볼 것 같습니다.
1mmAq 가스압을 줄이고 투입온도를 10도 높여볼 것 같습니다.
촉감이 더욱 매끄러워질 것을 기대합니다.